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생각하는 수영고수로 가는 지름길(?)이라기 보다는 이것만 잘해도 남들보다는 확실히 이쁘고 효율적인 수영을 할 수 있다라는 점을 나름의 팁으로 설명하는 시간입니다.
1.잘하는 영자의 수영하는 모습을 이미지트레이닝 하라
제가 수업을 할때 많이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어떤 운동이든 아니 운동이 아닌 어떤 분야든 나보다 높은 경지에 있는 사람을 카피 하는 것은 절대로 부끄러운 것이 아니며 더욱이 실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중에 하나입니다. 요새는 유튜브나 sns로도 수영 강습이나 잘하는 방법등에 대해서 설명이 잘 나와있어서 또는 수영 선수들의 시합영상이나 연습하는 영상등을 보면서도 내가 수영을 할때 이러한 이미지를 또는 수영을 하는 모습등을 잘 머릿속에 그린뒤에 수행을 하는 것이 연습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영상을 보는것이 귀찮다면 우리나라의 생활체육문화중에 초보자나 입문자가 고수들에게 물어본다면 고수분들은 흔쾌히 그 물음에 자신만의 노하우를 섞어 답변을 해줄것이며
바로 실전을 통해서 고수분들에게 피드백을 받을수도 있습니다. 수영장에서는 대부분 초급반, 중급반, 연수반, 마스터반등 수준별로 반이 나눠져 단체수업을 하므로 쉬는시간에나 자유수영중에 물어본다면 수업에서 강사들의 노하우 뿐만이 아니라 수력이 오래되신 고수분들의 퀄리티 있는 팁들을 많이 얻어갈수 있을것입니다.
2.느린수영을 먼저 하라
수영을 하다보면 자기도 모르게 영법 자체가 빨라지고 숨이 차다보니 일정한 박자로 가지 않고 점점 더 빨라지는 수영을 하게됩니다. 이렇게 빠른 수영 그리고 일정한 박자감 없이 항상 바뀌는 박자로 수영을 하다보면 습관이 잘 못들게 되어 더욱 고치기 힘들고 느린수영을 하기가 더욱이 힘들어집니다. 그래서 수업을 하다보면 강조하는 부분이 먼저 느리고 자신만의 박자에 맞춰 수영을 하는것을 권장합니다. 특히 초보자나 입문자들 경우 물에 가라앉지 않기 위해 발차기가 많아지고 빨라지기 떄문에 처음에는 굉장히 숨이 찰 수밖에 없는 상황이 생깁니다. 물 밖에서 마라톤이나 장거리 달리기를 뛸 때도 나름의 호흡이 있는데, 이는 수영에서도 똑같이 적용 됩니다. 다만 물에서 하는 운동과 육상에서 하는 운동이라는 차이점 때문에 호흡하는 부분에 있어 육상에서 하는 운동보다는 더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도 더 효율적인 수영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여유롭게 느린 수영을 먼저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느리게 하다가 어느정도 영법이 나의 몸에 익숙해지면 그때부터는 단거리영법, 중거리영법, 장거리영법에 맞춰 속도를 조절하고 박자를 조절하면서 수영을 하는 것이 수영실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 입니다.
3.물의감각 익히기
물 감 이란, 수영을 할때 손바닥에 느껴지는 물의 감각을 말합니다. 물에는 크게 물의 부력, 물의 저항, 물의 부력,물의 수압이 있습니다.
물의 부력은 다들 상식적으로 알다시피 물에 뜨는 힘을 말합니다. 물의 부력은 상대적으로 중력보다는 약하지만, 근력이 약하거나 뇌성마비와 같이 움직임에 어려움이 있거나, 비만, 척추손상 류마티스 환자,관절 환자등 유연성에 제한이 있는 사람들에게 체중과 환경의 부담에서 벗어나 쉽게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습니다.그리고 물의 수압은 말그대로 말 속에서의 압력을 말하는데 물 밖에서의 압력보다 물 속에서의 압력이 더욱이 강력하기 때문에 물 밖에서 호흡하는 것보다 물 속 에서 호흡하는 것에 더욱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이것은 단점이자 큰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물의 수압에서 호흡을 하는 것만으로도 천식환자 그리고 노인들에게 심폐능력향상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물의 저항은 수압으로 인해 생기는 저항으로 이때문에 물 밖에서는 쉽게 움직일수 있는 동작도 물 안에서는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물의 감각은 이 세가지 특성 모두 다 잘이용할수 있어야 하는데,특히 앞 선 연습방법 중에 '스컬링' 을 연습하는 것이 손바닥의 물의 감각을 키우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물의감각에 익숙해지면 물을 무겁게 그리고 가볍게 잡는 방법에 대해서 익숙해지게 되고 수영실력에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수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 수영강사가 말하는 수영)배영 심화편 (0) | 2022.12.22 |
---|---|
(현 수영강사가 말하는 수영)자유형 심화편 (0) | 2022.12.22 |
(현 수영강사가 말하는 수영)나는 수영초보자?? (0) | 2022.12.19 |
(수영강사가 말하는 수영)수영배우기의 첫단추 (0) | 2022.12.14 |
(현 수영강사가 말하는 수영)라이프가드🛟part2 (0) | 2022.12.14 |